Hopecatch

     

결혼 준비를 시작하면 설렘보다 걱정이 먼저 밀려온다. 가장 큰 고민은 역시 비용이다. 예식장, 드레스, 혼수, 신혼여행까지 하나하나 따져보면 생각보다 돈이 많이 들어간다. 하지만 꼭 비싸야 좋은 결혼이 되는 건 아니다. 오늘은 필요한 곳에는 투자하고, 아낄 수 있는 부분은 확실히 절약하는 가성비 결혼 준비 방법을 소개해 보겠다.

 

 

1. 결혼 예산 먼저 정하기

결혼

무조건 "최대한 아끼자!"라고 다짐하는 것보다 현실적인 예산을 먼저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 현재 가능한 예산이 얼마인지 계산하기
✅ 부모님의 지원 여부 고려하기
✅ 대출이 필요한지, 빚 없이 진행할 수 있는지 따져보기

 

전체 예산을 대략적으로라도 정해야 이후 결혼 준비 과정이 훨씬 수월해진다.

 

 

2. 예식장, 날짜만 잘 잡아도 절약 가능

 

💰 성수기 vs 비수기
결혼식 성수기(5~6월, 9~10월)에는 예식장 대관료가 비싸다. 하지만 12월, 7~8월 같은 비수기를 선택하면 최대 30~40% 저렴하게 예약할 수 있다.

 

💰 주말 vs 평일
주말 낮 예식이 가장 비싸고, 금요일 저녁이나 일요일 오후 예식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신랑·신부가 평일 결혼식에 부담이 없다면, 비용 절감 효과가 크다.

 

💰 소규모 웨딩 선택
최근 하우스 웨딩, 레스토랑 웨딩, 스몰 웨딩이 인기다. 대형 호텔이 아닌 작은 규모의 웨딩홀을 선택하면 대관료, 식사비용, 장식비 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3. 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스드메), 패키지가 답이다

웨딩 촬영(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을 각각 예약하면 비용이 더 든다.


💎 패키지로 계약하면 최대 20~30% 절약 가능
💎 유명 브랜드가 아니어도 충분히 예쁜 드레스 많음
💎 드레스 대여 시 1~2벌만 선택하면 추가 비용 절감

 

실제로 스드메 비용 평균이 300~500만 원 수준인데, 합리적인 업체를 고르면 200만 원대에도 가능하다. 업체별 가격 비교는 필수다.

 

 

4. 신혼집, 인테리어보다 실용적인 가전 먼저

 

💡 예쁜 가구보다 가전제품에 투자하기
신혼집을 꾸밀 때 감성적인 가구에 투자하고 싶겠지만, 실제로는 가전제품이 훨씬 중요하다.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청소기 등은 자주 사용하는 제품이라 좋은 걸 사는 게 유지비 절감에도 도움이 된다.

 

💡 공동구매 활용하기
신혼부부들을 위한 가전 공동구매 행사나 브랜드 프로모션을 활용하면 최대 30~40% 할인된 가격으로 가전을 살 수 있다.

 

💡 가전 렌탈도 고려해보기
정수기, 비데, 의류관리기 등은 초기 비용 부담이 크다면 렌탈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5. 혼수, 꼭 필요한 것만 사기

 

💰 명품 예물 vs 실용적인 반지
다이아몬드 반지가 필수라고 생각하지만, 요즘은 실용적인 예물을 선택하는 신혼부부가 많다. 예물 예산을 200만 원 이하로 잡고, 그 돈으로 신혼여행이나 가전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한복 대여하기
한복을 맞추는 것보다 대여하면 훨씬 저렴하다. 대여비는 보통 10만~20만 원대로, 맞춤 한복보다 훨씬 경제적이다.

 

💰 가구는 천천히 채우기
결혼하면서 한 번에 모든 가구를 채우려다 보면 비용이 많이 든다. 필요한 것부터 차근차근 채우는 것이 가성비 좋은 혼수 준비의 핵심이다.

 

 

6. 결혼 준비 앱 활용하면 반값 절약 가능

📱 웨딩북 - 웨딩업체 비교 & 실시간 할인 정보 제공
📱 아이웨딩 - 웨딩홀, 드레스샵, 메이크업샵 패키지 할인 정보 제공
📱 혼수마켓 - 혼수용품, 가전, 예물 공동구매 가능

 

이런 앱을 활용하면 최대 50%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결혼 준비 가능하다.

 

 

7. 신혼여행, 똑똑하게 예약하기


✈️ 항공권, 최소 3~6개월 전에 예약
✈️ 패키지보단 개별 예약이 더 저렴할 수도 있음
✈️ 비수기 시즌 노리면 항공·숙박비 절반 이하로 가능

 

특히 괌, 다낭, 푸꾸옥, 코타키나발루 같은 동남아 지역은 비용 대비 만족도가 높아 신혼여행지로 인기다.

 

 

 

8. 결혼식 비용 지원 정책 확인하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신혼부부를 위한 지원 정책이 많다.


💰 청년 전세자금 대출 – 신혼부부에게 최저 연 1%대 금리로 대출 지원
💰 혼인 장려금 – 일부 지자체에서는 결혼 장려금으로 50~100만 원 지원
💰 신혼부부 전세대출 이자 지원 – 일부 은행에서 신혼부부 대상 대출 이자 지원

 

이런 정책을 잘 활용하면 결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맺음말

결혼은 인생의 가장 중요한 이벤트지만, 무리하게 돈을 쓸 필요는 없다. 꼭 필요한 곳에는 투자하고, 절약할 수 있는 부분은 확실히 아끼는 것이 가성비 결혼 준비의 핵심이다.

 

✔️ 스드메 패키지 활용하기
✔️ 웨딩홀 날짜·시간 조정해서 비용 절감
✔️ 가전은 신혼부부 공동구매 활용
✔️ 필요한 혼수만 사고, 예물은 실용적으로
✔️ 신혼여행도 미리 예약해서 예산 절감

 

현명한 선택으로 행복한 결혼을 준비해보자.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반응형